계약관리

계약관리는 방위사업에 대한 계약·원가 및 규격·목록 등 표준의 관리와 계약 사후관리 등을 수행합니다.
특히 군이 필요로 하는 군수품을 신뢰할 수 있는 조달원에서 수요군이 요구하는 장소와 납기에 적정규격에 의한 품질, 적정 서비스 조건과 경제적 가격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방위력개선사업과 전력운영사업에 대한 조달업무를 수행하고, 방위사업에 적합한 계약환경 조성을 위한 조달 관련 제도·절차 개선 등의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조달업무 수행절차

조달업무 수행절차 - 자세한 내용은 하단 텍스트 참고
  1. 방위력개선사업 : 사업관리본부 IPT(예산 재배정, 조달요구), 전력운영사업 : 소요군 군사수(예산 재배정, 조달요구)
  2. 조달판단(계약팀) : *조달원 확인, 묶음판단 / 계약방법 확정, 특수조건 설정
    • 국내조달
      1. 원가산정 수익 협상
      2. 원가심사
      3. 공고/입찰(계약팀) 유찰 수의 협상
      4. 계약체결(계약팀) 협상
      5. 지출원인행위
      6. 생산/납품(업체) 기품원, 품질보증, 제작사
      7. 지출심사/지불
    • 국외조달
      1. 목표가산점 상업구매 수익 협상
      2. 목표가심사
      3. 공고/입찰(계약팀) 유찰 수의 협상
      4. 계약체결(계약팀) 협상
      5. 지출원인행위
      6. 생산/납품(업체) 기품원, 품질보증, 제작사
      7. 지출심사/지불
      1. 오파 요청 FMS
      2. 오파발행(미정부)
      3. 초입금/분기별대금 지불
      4. 물자청구
      5. 수송/인도
      6. 오파종결/정산
      7. 잔금 국고환수

국내계약 및 조달

국내조달은 국내업체를 통해 군수품을 조달하는 것입니다. 군수품 구매 주체에 따라 방위사업청을 통해서 구매하는 중앙조달, 수요군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부대조달, 조달청에 위탁하여 구매하는 조달청 조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방위사업청에서는 전자시스템을 이용한 조달시스템인 국방전자조달시스템(www.d2b.go.kr)을 운영중이며, 나라장터(www.g2b.go.kr)와 연계하여 많은 민간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제계약 및 조달

국외조달은 대외 지급 수단을 통하여 해외시장으로부터 조달하는 것으로 통상 외자조달이라고 합니다. 획득방법으로는 미국 정부로부터 대외군사 판매에 의한 구매(FMS : Foreign Military Sales)와 해외업체로부터의 상업구매(FCP : Foreign Capital Purchase)가 있습니다. 국외조달은 국산 대체 불가 품목에 대하여 조달하는데 상업구매(무역구매)가 원칙이고 대 정부간 추진물자는 FMS 및 대 정부간 일반 구매가 원칙입니다.

원가관리

방위사업은 시장경쟁 원리보다는 한정된 국방예산과 기업의 비용발생 실적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부가 유일한 수요자이기 때문에 생산물량이 한정되고 연구개발에 막대한 예산 및 기간이 소요되어 불확실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정부와 업체 간에 쌍방 독점적 관계가 대부분이고 품질과 성능 등 제품의 신뢰성 자체에 중점을 두어 때로는 선 품질, 후 가격의 전략이 강조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방산 원가계산시 직접원가는 실제 발생 비용을 위주로 하여 직접 계산하고 간접원가는 제비율에 의하여 산정합니다.

조달업무 수행절차

국내조달원 품목등록 절차

다운로드

국외조달원 등록 절차

다운로드

방위력개선사업 계약팀별 담당품목분류

다운로드

전력운영사업 계약팀별 담당품목분류

다운로드

더 나은 민원행정 서비스를 위해 민원 답변에 대한 만족도 표시를 부탁드립니다.